읽기/관계 80

대표이사 10계명

https://blt.kr/column/?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5150863&t=board&fbclid=IwAR1Vp66YiuicgOWVC6ZKGao3iRG5zFu2WhmmvnfYhf-RhfQsG_VAHi4Z6Nw 대표이사 10계명 : BLT칼럼 | 특허법인BLT 나는 지금까지 10개가 넘는 조직을 이끌면서 리더의 역할과 자질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거듭해 왔다. 대표가 해야 될 일에 대한 많은 조언이 있을 수 있지만 내가 생각하는 10가지를 간단하게 blt.kr 첫 번째. 사람을 중시 여겨야 한다. 사업이 됐건, 정치가 됐건, 종교가 됐건, 조직의 ‘대표’라고 하는 자리는 항상 많은 사람들과 어울리고, 그들..

읽기/관계 2023.05.16

지적하는 사람들 대처법

이 세상에서 가장 쉬운 게 뭔지 아세요? 남을 지적하는 거예요. 이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게 뭔지 아세요? 남의 고민을 해결해주는 거예요. 사람들은 지적은 쉽게 하면서도 원인을 찾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건 잘하지 못합니다. 지적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콕 집어서 가리킴 2. 허물 따위를 드러내어 폭로함 유의어로는 지목, 지시, 손가락질. 그냥 읽어만 보아도 좋은 의미로 느껴지진 않죠? 어떤 사람들은 지적을 할 때 이렇게 말합니다. " 널 위해서 하는 얘기야 " " 다~ 너 잘되라고 하는 얘기야 " " 이런 말도 수용할 줄 알아야 네가 발전하는 거야 " 얼핏 듣기엔 그럴싸하죠? 근데요, 정말 그 사람을 생각해서 지적하는 것일까요? 그렇다면 왜 상대방의 마음은 생각하지 않을까요? 주변에 저렇게 ..

읽기/관계 2023.04.18

건강한 관계 유지를 위한 5가지

건강한 관계 유지를 위한 5가지 사랑은 감정이지만, 노력이 필요하다.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려면, 행동, 목적, 그리고 열린 마음이 필요하다. 그저 느끼는 것은 충분하지 않으며, 당신은 그 사랑을 그저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 사랑 안에서 살아야 한다. 1. 연인을 존중하고 상대의 목표를 응원하라 상대가 자신을 존중해 주고 결정을 받아들여주길 원한다면, 상대와 자신을 존중하라 2. 친밀감을 우선시해라 3. 균형있게 인생을 공유하라 스스로의 공간과 독립성을 가지는 것은 상대를 무시하는 게 아니라, 관계에서 매우 긍정적이 될 에너지를 충전하는 것이다. 4. 불평 대신 소통하라 5. 연인을 받아들여라

읽기/관계 2023.03.10

사람을 뽑는 기술

오노 타케히코가 쓴 이라는 책을 펼쳐 보니 사람을 분류하는 몇 가지 기준이 나옵니다. 저자는 '태도의 좋고 나쁨'을 가로축으로, '능력'을 세로축으로 해서 4가지 기준을 설명하고 있어요. 능력이 우수하면서 선한 사람 누구나 이런 사람을 뽑기를, 이런 직원과 함께 일하기를 원할 겁니다. 사람을 뽑는 기술은 바로 이런 사람들을 놓치지 않고 발견하는 스킬을 말합니다. 여기에 속한 사람을 '능력이 평범하지만 선한 사람'으로 낮춰 보기 쉽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랍니다. 능력이 평범하지만 선한 사람 이런 사람들은 조직에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조직에서 행하는 모든 일이 출중한 능력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이들에게 '당신은 왜 우수한 능력을 가지지 못했나요?'라고 질책하면 안 됩니다. 감사해 하면서 이들에게 ..

읽기/관계 2023.01.04

옷깃만 스친 인연이 내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이유

우리의 삶은 많은 인연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가까운 인연에는 가족, 친한 친구들, 매일 만나는 회사 동료들이 있죠. 먼 인연에는 지금은 연락하지 않는 동창, 명함 한번 주고받은 사람들이 있고요. 보통 우리는 가까운 인연에 나의 시간과 에너지를 집중하고, 먼 인연은 소홀히 하는데요. 사회학자들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먼 인연의 가치’에 주목했습니다. 가까운 인연보다 먼 인연이 여러분의 인생을 바꿀 일생일대의 기회나 중요한 정보를 가져다줄 수 있다면서요. 먼 인연의 가치는 40여 년 전 진행된 연구, 을 통해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1973년 미국의 사회학자 마크 그래노베터는 취업 성공률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는데요. 연구 결과, 자주 만나는 사람들로부터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얻은 사람은 17%인 반면 가끔 ..

읽기/관계 2023.01.03

가장 많이 만나는 다섯 사람이 당신 인생을 결정한다

가장 많이 만나는 다섯 사람이 당신 인생을 결정한다 새해 결심을 끝까지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에이브러햄 링컨은 “내게 나무 벨 시간이 6시간 주어진다면 5시간은 도끼를 가는데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어떤 목표를 달성하려면 그 목표 달성에 필요한 도구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무딘 도끼로 나무를 베려 해봤자 힘만 들고 나무는 넘어가지 않는다. 도끼를 날카롭게 만들면 몇 번의 도끼질만으로도 나무가 넘어간다. 무작정 목표를 향해 돌진하는 것보다는 목표를 이루기 위한 수단을 먼저 생각해보는 것이 효율적이다. 새해 결심을 지키는데 필요한 도구는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이 개인의 의지력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옛날 습관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욕망을 의지력으로 이겨내는 것이 핵심이라는 통념 때문이다. 하..

읽기/관계 2022.12.30

사랑을 갈망하는 사람의 특징 7

사랑을 갈망하는 사람의 특징 7 우리는 종교와 명상 없이 살 수 있지만, 인간의 애정 없이는 살 수 없다 달라이 라마 사랑받기를 간절히 원하는 사람들은 애정이나 정서적인 친밀감 없이 자란 경험 때문에 그런 행동을 하곤 한다. 누군가의 품에 안겨 사랑의 말을 듣기를 원하거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애정을 느껴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번 글에서는 사랑을 갈망하는 사람의 특징 7가지를 이야기해보겠다. 애정 결핍 상태로 성장한 사람들은 상처가 치료될 때까지 기다리며 살아간다. 문제는 치료 과정에 타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자기 수용과 자신을 사랑하는 태도만이 진정으로 그들 자신을 치료할 수 있다. 애정 결핍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종종 자기 수용과 자신을 사랑하는 태도를 타인의 사..

읽기/관계 2022.12.26

누구와 함께할것인가?

누구와 함께할것인가?-- 부제. 에너지에 대하여 1. 얼마전 한 벤처CEO가 묻는다. "어떤 사람을 뽑지 말아야 까요?" 매우 애매하고 광범위한 질문이다. "회사의 가치에 맞지 않는 사람을 뽑지마세요"가 정답이지만 여기에 더하여 이렇게 답했다. "당신에게 에너지를 뺏는 직원들을 떠 올려보시고 공통점을 적어보세요. 그 특성을 가진 사람은 뽑지않으면 되겠죠" 2. 일의격에도 썻지만 예전에, 한 CEO 또한 이런 질문을 했다. "어떤 구성원이 저와 잘 맞고 오래같이 갈수 있는 사람일까요?" 나는 이렇게 말했다. "당신이 에너지를 별로 쓰지 않는 사람이겠죠" 3. 나도 그런적이 있었다. 과거에, 자기 정치하는 산하 임원과 일할때, 나를 엄청나게 마이크로매니지하는 상사와 일할때 내 신경이 온통 그곳에 가 있어 막..

읽기/관계 2022.12.24

회피형 인간과 연애하면 피곤한 이유 8

🍠속마음을 잘 보이지 않는다 회피형 사람들은 때때로 지인들에게 ‘너는 도무지 속을 알 수 없어’라는 말을 들을 때가 있다. 내 이야기를 듣고 상대가 이상하게 보지는 않을까 혼자 걱정을 하기 때문에 철저히 혼자 결정하고 혼자가 편하다고 생각한다. 처음부터 가까워지지 않으면 상처도 안 받고 속 얘기를 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하며, 절대 상대방에게 의존하지 않겠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다른 사람보다 내가 중요하다 사람을 만나면 호기심이나 즐거운 일이 있으리라는 설렘보다 귀찮고 피곤하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울타리 안에서 어느 누구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결국 자신만의 세계 안에서 편안함과 안정감을 찾는다. 누군가 자신에게 친밀감을 보이거나 다가오면 자신의 세계가 침범 당하는 것이 싫어 바쁘거나 피곤하다고 만남..

읽기/관계 2022.12.23

사랑과 친밀감

사랑과 친밀감 ​ 사랑이란 무엇인가? 사랑은 존재의 의미를 체험할 수 있게 해주고, 삶을 풍성하게 해줌. 사람들이 연결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긍정적 인간관계를 맺도록 해줌. 인간은 누구나 사랑하는 관계를 추구하지만 진정한 사랑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음. ​ 사랑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흐름으로 구분될 수 있음. ① 아동과 부모의 유대관계를 연구하는 흐름 – 보울비의 애착이론 ② 성인의 낭만적 사랑에 대한 연구 – 친밀감 이론, 삼각형 이론 ​ 1) 애착이론 존 보울비가 처음으로 제시한 이론으로 특정한 두 사람 사이에 형성되는 정서적인 유대관계를 애착이라고 정의하면서, 어린아이가 애착을 느끼는 특정 인물은 세상을 탐색하는 안전기지의 역할을 한다는 애착이론을 제시하였음. *애착관계의 ..

읽기/관계 2022.12.2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