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협동조합과 주식회사의 비교, 협동조합 특징 단점

by dig it 2021. 9. 2.

협동조합과 주식회사의 비교

 

구분 협동조합 주식회사(상장회사)
소유
제도
소유자 조합원 주주(주식 소유자)
투자한도 개인의 출자한도 제한 원칙적으로 출자제한 없음
지분거래 없음 지분거래 가능
가치변동 출자가격의 변동이 없음 주식시장에서 수시 변동
투자상환 상환책임 있음 상환책임 없음
통제
제도
의결권 1인1표
다수의 평등한 지배
1주1표(주식 수에 비례)
소수 대주주의 지배
경영기구 조합원에 의해 선출된 이사회
이사회에서 선출한 경영자,
또는 선출직 상임조합장 
주주에 의해 선출된 이사회
이사회에서 선출한 경영자,
혹은 대주주의 자체경영
수익
처분
제도
내부유보 내부유보를 강하게 선언
사회적협동조합은 100% 유보
내부유보는 제한적
이용배당 협동조합 배당의 원칙
출자배당에 선행함
없음
출자배당 출자금의 이자로 이해
배당률의 제한, 일부 미실시
위험을 감수한 대가로 간주
제한 없음

 

협동조합의 큰 특징은

첫째, 협동조합은 투자자(주주) 소유 기업이 아니라 사업 이용자들이 출자하여 소유하는 이용자 소유 기업이다.
이러한 차이로 해서 주식회사는 투자자인 주주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업을 운영한다면
협동조합은 이용자인 조합원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업체를 운영합니다.

둘째, 주식회사는 자본이 중심이므로 1주1표의 의결권을 가지지만, 협동조합은 출자액에 관계없이 1인 1표라는 사람 중심의 의결권을 가지고 민주적으로 운영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주식회사의 실제적인 의사결정이 소수의 대주주에 의해 결정되는 것에 비해 협동조합은 다수의 평등한 지배가 가능합니다. 이런 점에서 조합 총회 혹은 대의원총회가 매우 중요한 기능을 행사하며, 실제 그렇게 되어야 제대로 된 협동조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셋째, 사업을 통해 발생하는 이익은 출자에 따른 배당보다는 이용 배당을 우선한다는 것이다.
출자배당도 없지는 않지만 협동조합에서 출자배당은 출자금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이해되어, 출자배당의 제한을 법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영어로는 이자에 해당하는 interest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반면에 주식회사는 일반적으로 이용 배당이란 없고, 출자배당은 투자의 위험성에 대한 보상이라는 개념으로 배당을 하며, 따라서 출자배당의 제한이 없습니다.

 

협동조합의 단점

첫째, 협동조합은 배당보다는 서비스 이용이 목적이기 때문에 크게 수익이 기대되지 않는 사업도 조합원들의 필요만 있다면 사업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영리기업에서는 활용하지 않는 생산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사회 전체적으로 유익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둘째, 협동조합은 이윤이 직접적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비싸게 서비스 또는 재화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원가에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최소한의 마진만 더한 가격으로 운영할 수 있어 조합원의 비용절감에 도움이 됩니다.

 

셋째, 협동조합은 소수의 지배주주의 의사결정 방식에 비해 민주적으로 의사를 결정해야 하므로, 합의를 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더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때 갈등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잘 관리해야 합니다.

이런 협동조합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조합원들의 협동조합문화를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됩니다.
 

 

 

http://www.yse.or.kr/page.php?idx=55 

 

[용산구 사회적경제 지원센터] 협동조합 제도소개

협동조합현황 협동조합 제도소개 협동조합의 설립 협동조합의 운영 협동조합이란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생산·판매·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함을써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에 공

www.yse.or.kr

 

'읽기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글  (0) 2021.10.29
시작한 모든 일을 끝내기 위한 일곱 개의 팁  (0) 2021.10.09
내가 공짜로 일하지 않는 이유 7가지  (0) 2021.06.20
실력향상을 위한 심리코칭  (0) 2021.06.20
인맥  (0) 2021.06.20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