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 내 괴롭힘 어떻게 신고할까? 해결방안은?
회사의 직장 내 괴롭힘 신고절차에 따라 신고하고 조사 및 조치를 요구할 수 있어요.
이때 사용자는 지체없이 관련 내용을 조사해야 하고 조사결과에 따라 피해자 보호와 가해자에 대한 징계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대표이사가 가해자인 경우
- 기업 내 감사나, 외부 전문가, 외부 기관 등에서 조사하고 그 결과를 이사회에 보고하도록 별도 체계를 갖출 것을 권고하고 있어요.
- ’21.10.14.부터는 사용자나 사용자의 친족인 근로자가 가해자인 경우에는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므로, 고용노동부에 진정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직장 내 괴롭힘이 확인된 경우 가해자 및 피해근로자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해요.
- 괴롭힘 사실이 확인된 때에는 가해자에 대해서는 피해근로자의 의견을 들어 징계, 근무장소 변경 등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하고,
피해근로자 요청 시에는 근무장소의 변경, 배치전환, 유급휴가 명령 등 적절한 조치를 해야해요.
- 직장 내 괴롭힘은 피해자 뿐 아니라 사건 발생 사실을 아는 누구나 신고할 수 있고 비밀이 보장됩니다.
* ’21.10.14.부터 비밀 누설 시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만일 사업주가 직장 내 괴롭힘 신고자 혹은 피해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할 경우 처벌받게 됩니다.
(3년 이하 징역 / 3,000만원 이하 벌금)
• 회사 내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시 처리 단계
[1] 직장 내괴롭힘 신고/인지 시 회사에서는 조사를 직시 시행
[2] 피해근로자 또는 피해주장근로자에 대한 적절한 조치의무 시행(근무장소변경, 유급휴가, 명령 등)
[3] 사실 확인후 피해자 요청시 조치 의무(근무장소 변경, 배치전화, 유급휴가 명령),
또한 사실확인 후 지체 없이 행위자에 대한 필요한 조치 의무가 필요(징계, 근무장소 변경 등)
※ 이 과정에서 징계 등의 조치 전 피해자 의견 청취
→ 이 과정 속에 불리한 처우 금지, 위반시 벌칙 제 109조에 의하여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추가적으로!
- 직장 내 괴롭힘 발생사실 확인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 1차 과태료는 300만원 부과
- 피해근로자가 요청시 근무장소 변경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 1차 200만원 부과
- 가해자에게 징계 등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 1차 200만원 부과
- 조사과정에서 알게 된 비밀을 다른 사람에게 누설한 경우 1차 300만원 부과
■ 직장 내 괴롭힘 트라우마로 힘들어 하고 계시다면?

[상담대상]
- 1차 피해자 : 신체적 부상 또는 정신적 외상이 있는 사람
- 2차 피해자 : 사건을 목격한 사람, 1차 피해자의 가족이나 친구, 희생자의 유족, 사건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
- 3차 피해자 : 경찰, 소방관 및 응급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사람
[상담 내용]
- 직·간접사고 피해자의 심리 안정화 - 외상후스트레스 장애 예방 - 사고 충격에 따른 심리안정 지속 관리 - 일상 직장생활 복귀 도모 - 필요 시 전문 치료 연계
[상담 신청 방법]
전화 ☎ 1588-6497, 전화신청 후 센터 방문
[상담시간]
평일 9:00 ~ 21:00
※ 운영 시간은 센터별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사전 전화 문의 필수
[상담 진행 절차]
(1단계) 상담신청 → (2단계) 상담실시 → (3단계) 지속관리 * 상담결과는 비밀이 보장됩니다.
또 노무사, 심리상담가 등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 직장 내 괴롭힘 상담센터 ☎1522-9000
'읽기 > 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과 지향 문화의 종말 (0) | 2023.07.04 |
---|---|
뒷담화 동기와 목적 (0) | 2023.06.12 |
직장 왕따… 대처하는 요령 5 (0) | 2023.05.18 |
직장내 집단따돌림과 팀장 갑질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 (0) | 2023.05.18 |
가식적인 사람의 11가지 징후 (0) | 2023.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