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티비 자주보면 치매에 영향 있을까?

 

어머니가 치매 초기라 최근에 치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물론 나에게도 닥칠 일 이지만

어머니는 유튜브와 뉴스를 자주 보시는데
자주 봤을떼 치매에 영향 있을까?가 궁금하여 검색해 보았다

미국 컬럼비아대학 의대 연구진
에 따르면 정기적으로 TV를 보는 중장년층은 추리력과 기억력이 감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V는 정기적으로 시청할수록 뇌에 더 많은 영향을 주며 적당 시간 시청하는 것 또한 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적당 시간 TV를 시청한 사람도 나이가 들면서 인지 테스트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참가자를 TV를 본 적이 없거나 거의 보지 않는 사람, 가끔 보는 사람, 그리고 자주 보는 사람 세 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이들 세 집단을 대상으로 나이가 들며 뇌 기능의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일련의 테스트를 진행했다.

15년간의 추적 관찰 결과,

연구진은 TV를 거의 시청하지 않았다고 보고한 참가자와 비교해 적당히, 혹은 자주 TV를 시청한다고 보고한 참가자들의 인지 기능이 약 7% 감소했음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뇌 기능 저하의 원인을 '오래 앉아 있는 습관'으로 추정하고 있다.

버밍엄 앨라배마대학 공중보건대 연구진은 약 1,000명의 참가자를 비교한 결과, TV를 자주 보는 사람은 뇌 위축이나 기능 악화가 심한 것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버밍엄 앨라배마대 연구진은 “10년간 관찰한 결과 TV를 많이 시청한 참가자의 회백질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TV를 오래 시청하면 뇌의 회백질량을 줄어들어 인지 기능이 떨어지고, 치매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존스 홉킨스대학 의대 연구진은 동영상 시청 시간과 뇌 회백질량 변화 사이에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 연구진은 “TV를 한 시간 더 볼 때마다 평균적으로 약 0.5%의 회백질이 손실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