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moon 어원

달(moon)은 인도유럽조어 mens(측정하다)에서 비롯된 단어로 원래는 ‘측정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고대 게르만인은 달의 위치와 모양을 보고 다음 달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이 moon에서 파생된 month(달력상의 달, 개월)는 바로 보름에서 그 다음 보름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옛날 서양 사람들은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이 사람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고 여겼다.

라틴어 luna(달)에서 비롯된 lunatic이나 moonstruck은 모두 ‘미친, 발광한’이라는 뜻인데 원래는 ‘달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뜻이다. 또한 여성의 생리(mense, menstruction 월경)가 한 달이 주기인 것도 상징적인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달과 같이 ‘측정한다’라는 어원을 가진 단어로 meal(식사)과 measure(치수, 크기)이 있다.

meal은 원래 ‘정해진 시간’이라는 뜻인데, 시간 개념이 탈락되어 ‘식사’로 바뀐 것이다. 독일어에서도 Mal(횟수, 때)과 Mahl(식사)은 어원이 같으며, 우리말에 아침과 저녁이 시각을 가리키는 동시에 식사라는 뜻을 가진 것과 마찬가지이다.

Measure는 원래 라틴어 mensura(잣대)에서 유래되었다.

우리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프로타고라스(BC 485?~BC 414?)의 “인간은 만물의 척도(Homo Mensura, Man is the measure of all things)”라는 말을 익히 들어서 알고 있다. mensura에서 파생된 단어로는 immense(im. 부정의 접두사 + 측정하다 = 무한의), bimensal(격월의, 두 달 계속의), semester(1년 2학기제의 한 학기) 등이 있다. 중세의 연금술 용어인 menstruum(용매, solvent)도 같은 어원인데, 이것은 아마도 월경의 용해력에 비유한 것 같다.

‘측정하다’와 관계가 있는 meter(운율의 격 또는 잣대의 미터)도 그리스어에서 영어로 흘러들어온 것이다. 1미터는 처음에 지구 자오선의 4,000만 분의 1 길이였는데 지금은 진공상태에서 빛이 299,792,458분의 1초 동안에 나아가는 거리로 정의되고 있다.


• Blue moon 한 달에 두 번 보름달이 뜰 경우 두 번째 보름달을 말하며, 서양에서는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었다
• The man in the moon 달 표면의 반점, 가상의 인물
• New(half, full, old) moon 초승달(반달, 보름달, 그믐달)
• Moonlight flitting 야반도주
• Moonshine 금주법 시대의 밀주 위스키, 달빛, 허튼소리
• PMS(premenstrual syndrom) 월경전 증후군
• Measure for measure 복수, 앙갚음(tit for ta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