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출처
http://flairkorea.com/board_data/cms/1378771705_77028_1.pdf
포토샵 컬러 세팅 환경에 설명으로 대부분 무시하고 지나가는 내용들이다. 하지만 인쇄를 하는 실무자는 꼭 알아야 하는 내용이기도 하다. 특히 디자인을 하는 측면에서 이 부분을 무시하면 인쇄 후 나타나는 색이 기대한 바와 달라 문제가 되거나 의뢰자와 분쟁의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 내용을 이해하는 데는 어느 정도 디지털 색채 이론에 대해 사전에 알고 있어야 하고 인쇄 프로세스도 알고 있어야 이해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무튼 이해할 수 있거나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 이해될 수 있기를 바라면 게시해 본다. 물론 자료가 이전 것이라 최근의 CC 버전 포토샵 등과는 화면이 다르나 이해하는 데는 문제가 없을 줄 안다.
내용의 일부가 설명되지 않은 곳이나 오류가 있는 곳은 수정 후 채워 넣었다.
포토샵 컬러 설정 전체 화면 : 1회 설정으로 다음 설정까지 계속 유지된다.
● Work Space: “작업 공간”으로 작업자가 사용하는 색 공간을 뜻한다.
작업 공간은 각 색상 모델의 작업 중인 색상 프로파일 지정한다. 작업 중인 공간은 색상이 관리되지 않는 문서와 색상이 관리되어 새로 작성되는 문서에 사용한다.
● Color Management Policies:“색상 관리 규칙으로” 색상을 특정 색상 모델로 관리하는데 사용한 방법을 지정하는 것으로, 설정한 방법을 사용하여 색상 프로파일을 읽기, 삽입, 색상 프로파일과 색상 공간 상이의 불일치 및 한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의 색상 이동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Conversion Options:“변환 옵션”으로 색상 공간 변환의 수행 방법에 관한 세부 사항을 지정한다.
● Advanced Controls:”고급 조절”로 모니터 압축 및 색상 혼합 조절을 하는 것으로
- Desaturate Monitor Colors By(모니터의 색상의 채도 감소량): 색상이 모니터에 표시될 때 채도를 감소시킬지를 조절한다.
- Blend RGB Colors Using Gamma(감마를 사용하여 RGB 색상 혼합): RGB 색상 반응의 혼합을 조절한다. 사용 가능하면 특정 감마를 사용하여 RGB 색상을 혼합한다.
RGB 프로파일
▶ RGB:RGB에 관한 프로파일 값들이 있다.
◎ Adobe RGB(1998): 이 공간은 넓은 범위 색상을 만들며, RGB를 CMUK로 변환하는데 유용하다.(폭넓은 색상 범위로 인쇄할 경우 사용)
◎ Apple RGB: 이전의 Apple 13”표준 모니터의 특징을 반영하기 때문에 맥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려고 계획하는 파일에 사용하면 좋다.(포토샵 4.0 이전 버전과 같은 이전의 출판용 파일 작업에 용이)
◎ ColorMatch RGB: Adobe RGB(1998) 모델보다 더 적은 범위의 색을 만든다. 하지만 RaduisPressview 모니터의 색상 공간과 일치하며 출판 작업에 좋다
◎ ProPhoto RGB: 명품 스트로보와 램프를 제조하는 회사의 규격으로 색 공간이 가장 넓다. 주로 상업사진에 활용된다.
◎ sRGB IEC61966-2.1: 보통의 pc 모니터 특성을 반영.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의 디폴트 값 공간으로 사용. 웹 작업에 이상적인 공간, 출판 x.(S=small을 의미하며, 포토샵 1.3 버전에서 사용됨)
CMYK 프로파일
▶ CMYK: CMYK 프로파일이 만들어져 있다.(지역별)
1. 유럽 규정: 유럽(독일+스위스 연맹)에서 지정(아시아에서 많이 사용)
- Forgra26(newspaper-매연)/ 28(web coated)/ 29(offset uncoated)/ 39(offset coated-윤전)
2. 미국 규정: Forgra를 북미 시장 여건에 맞게 조절해서 인증받은 프로파일 값(북미에서 많이 사용)
- U.S Sheetfed coated v2(매엽 인쇄-코팅o) / U.S Sheetfed coated v2(매엽 인쇄-코팅x)
- U.S Web Coated(SWOP) v2(윤전인쇄-코팅o) / U.S Web uncoated v2(윤전인쇄-코팅x)
- Coated GRACoL 2006: 미국에서 많이 쓰는 오프셋 매엽 인쇄 표준
3. 일본 규정: Japan color: 일본에서 제정한 표준들
- 유럽형 Forgra를 변형하여 일본여건에 맞게 조절해서 인증을 받은 프로파일 값-유럽에서는 인정 x
* 유럽(Forgra) / 미국(GRACoL) 규정의 차이점
◎ Forgra: C, M, Y 색상을 맞춰야 하는 특징
- GRACoL: 색상보다 Grayblance를 맞춰야 하는 특징
=색상을 맞춘다면 Grayblance가 맞는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어쩌면 같은 의미라고 함
Gray Scale 옵션
▶ Gray/Spot Dot Gain: 그라데이션 부분의 층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18~20% 설정)
▶ Color Management Policies:“색상 관리 규칙으로” 고객의 이미지의 작업 공간(프로파일)과 작업자의 작업공간(프로파일)이 일치하지 않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를 정하는 컬러 관리 정책이다.
(open 시 확인 위한 체크 설정)
변환 옵션을 3가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 off(끔): 별도의 컬러 관리를 하지 않는 것으로, 작업공간(프로파일)이 일치하지 않아도 관리를 하지 않는다.(색상을 불러올 때 색상 모양은 색상 값에 우선(?) 한다
◎ Preserve Embeded Profiles(삽입된 프로파일 유지): 고객의 이미지와 작업 공간과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일치하지 않을 때 고객의 작업 공간(프로파일)로 유지한 채 open 하는 설정
◎ Convert to Working RGB<CMYK>(RGB<CMYK> 작업자 작업 공간의 변환): 고객의 이미지와 작업 공간과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일치하지 않을 때 작업자의 작업 공간(프로파일)으로 이미지를 변환하여 open 하는 설정.(색상을 불러올 때 색상 모양은 색상 값에 우선(?) 한다
◎ Profile mismatches: 프로파일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음의 알림을 한다.
√ Ask when opening: 이미지 open 시 컬러 관리 정책에 따라 할 것인지를 물어본다.
√ Ask when pasting: 이미지를 붙여 넣기 할 때 컬러 관리 정책에 따라 할 것인지를 물어본다.
- Missing profiles: 프로파일이 embeded 되지 않는 경우
√ Ask when opening: 이미지 open 시 Working space profile로 할당할 것인지를 물어본다.
색 공간(Color Gamut)에 대한 내용은 http://magicmedia.blog.me/220357363942 를 참고로 한다.
색 공간과 재현에 관한 비교 이미지 자료
색 공간과 재현에 관한 비교 이미지 자료 색을 재현하는 색의 범위를 색 공간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런 ...
magicmedia.blog.me
색 공간과 브라우저에 대한 내용은 http://magicmedia.blog.me/220363413792 을 참고한다.
색 공간(color gamut)을 지원하는 브라우저 확인하기
색 공간(color gamut)을 지원하는 브라우저 확인하기 색 공간(color gamut)을 지원하는 브라우저는 과연 어...
magicmedia.blog.me
프로파일 옵션 체크하고 이미지 open 시 메시지 뜨는 창
- Use the embedded profile: 고객의 이미지와 작업 공간과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일치하지 않을 때 고 객의 작업 공간(프로파일)로 유지한 채 open 하는 설정
- Convert document’s colors to working space: 고객의 이미지와 작업 공간과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일 치하지 않을 때 작업자의 작업 공간(프로파일)으로 이미지를 변환하여 open 하는 설정.
- Discard the embedded profile(don’t, color manage):
변환 옵션으로 제공되는 2가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 Conversion Options: “변환 옵션”으로 색상 공간 변환의 수행 방법에 관한 세부 사항을 지정한다.
◎ Engine: CMM(color management module 색상 관리 모듈) 이라고도 하며, 서로 다른 색상 공간 사이에서 색상을 읽고 변환하는 CMS의 핵심 부분이다.
- Adobe(ACE): Adobe 색상 관리 시스템(환경)의 색상 엔진을 사용한다.
- Apple CMM:
시각적 인식이 되는 가시 범위, 채도, 상대 색도계, 절대 색도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 Intent: (Rendering intent-렌더링 의도): 컬러 변환 방법을 말한다. 즉 변환할 때 차이난색공간을 어떻게 처리하여 변환하는지를 지정하는 기능
- Perceptual(가시 범위): 전체 영역의 지각적 구분을 중점으로 압축한다. in gamut과 out of gamut의 차이를 광범위한 색상 영역 소스 이미지를 전체를 렌더링 하는데 이용되며 색상 값 자체가 자연스럽게 인지되도록 색상 간의 시각적 관계를 상대적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사진에 권장)이며, 정확한 색상 표현보다는 계조의 디테일이 유지할 필요성이 있을 때 사용
- Saturation(채도): 색상의 정확성보다는 채도가 높은(선명한 색상) 변환이 필요할 때 사용.색상 간의 정확한 관계보다 채도가 높고 선명한 색상이 중요한 상업용 그래픽에 적합하다.
- Relative Colormetric(상대 색도계): in gamut 부분의 컬러는 변화지 않고 벗어나 있는 gamet 부분만 Destination color space 경계면으로 압축되는 방식으로 정확한 컬러를 필요로 할 때 사용한다.
-Absolute Colormetric(절대 색도계): 로고 등 강한 저해상도 이미지에 사용.( 색상 변환에 사용 거의 X)
√ Use Black Point Compensation(검은 점 보정 사용): 색상 공간 사이에서 색상을 변환할 때 Blak Point 간의 차이를 조정할 것인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특별한 경우 제외하고는 체크한다.
√ Use dither (8-bit/channel image)(디더 사용): 이미지 변환 시 생길 수 있는 계단현상(bending)을 감소시킨다. 발생 부분에 픽셀이 추가되므로 이미지 용량은 커진다.
√ Compensate for Scene-referred Profiles:
Advanced Controls: ”고 급 조절”로 모니터 압축 및 색상 혼합 조절을 하는 것으로
√ Desaturate Monitor Colors By(모니터의 색상의 채도 감소량): 색상이 모니터에 표시될 때 채도를 감소시킬지를 조절한다. 고급 사용자만 사용 권장
√ Blend RGB Colors Using Gamma(감마를 사용하여 RGB 색상 혼합): RGB 색상 반응의 혼합을 조절한다. 사용 가능하면 특정 감마를 사용하여 RGB 색상을 혼합한다.
▶ Assign Profiles(프로파일 할당): 이미지 색상을 다른 색상 프로파일로 변환하거나 색상 프로파일이 embeded 되지 않는 이미지에 프로파일을 할당(부여) 할 수 있는 기능이다.
- Don’t Color Manager This Document: 이미지에 있는 프로파일을 제거(컬러 관리하지 않겠다는 뜻)
- Working CMYK: 컬러 세팅 메뉴에서 설정된 프로파일로 할당하는 기증
- Profile:시스템에 설치된 프로 파일 중에서 원하는 프로파일을 지정하는 기능
▶ Convert to Profile(프로파일로 변환 RGB/CMYK): 이미지 색상을 변환할 때 사용하는 기능
◎ Source Space: open된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프로파일
◎ Destination Space: 변환 시 적용될 프로파일을 지정하는 부분
◎ Conversion Options: 변환 시 적용되는 옵션(위에 설명)
- Enfine: (위에 설명)
- Intent: (위에 설명)
√ Use Black point Compensation: (위에 설명)
√ Use Dither: (위에 설명)
사용자 정의로 GCR과 UCR을 선택해 원색 분해 방법을 정의할 수 있다.
▶ UCR 설정: 무채색 표현에만 검정 잉크를 사용하는 방법
Ink Colors: SWOP(Coated)
Dot Gain: Standard-20%
Separation Option: UCR
- Black Ink Limit: 검정 잉크 한계의 기본값으로 100 정해져 있지만 검정 잉크의 한계는 95 ±2%이 다.(UCR 경우 낮은 쪽으로 정한다.)
- Total Ink Limit: 이 옵션에서 기입되는 숫자에서 검정 잉크 한계 값을 빼면 CMY의 잉크 총량이 된다. 잉크 총량 한계의 현실 값은 365%정도이다.
▶ GCR 설정: 색상 영역 전반에 검정 잉크를 사용하는 방법
Ink Colors: SWOP(Coated)
Dot Gain: Standard-20%
Separation Option: GCR
Black Generation: Medium: GCR 선택 시만 이용할 수 있다. 보통 Medium 선택, None은 K를 전혀 추가하지 않는다.
- Black Ink Limit:
- Total Ink Limit:
- UCA Amount: under color addition의 약칭으로 UCR의 반대 개념이며, UCR 선택 시 비활성 된다.
원색 분해에 대한 관련 문서는 http://magicmedia.blog.me/220718793036를 참고한다.
산업용 컬러 원색분해 기법(No-21)
1) 산업용 인쇄컬러 컬러를 인쇄로 표현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다. 그중 한 가지인 산업용 인쇄컬러는 잉...
magicmedia.blog.me
이론적으로 CMY를 100%씩 혼합하면 검정이 나와야 하나 실제는 90% 검정만 표현되어 나머지는 K로 명도를 보상하게 된다. 이것을 근거로 여러 인쇄기마다 잉크 총량 한계(Total Ink Limit)가 존재한다. 잉크의 총량 한계란 CMY의 하프톤 상한선에 K의 농도 값을 더한 것으로 윤전기는 250%, 오프셋의 경우 300% 정도로 한다.
'작업 > 브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쇄를 위한 컬러 설정 (0) | 2020.08.26 |
---|---|
브랜드는 경험하는 것이다 (0) | 2020.08.26 |
출력시 검정색 글씨를 보다 선명하게 (0) | 2020.05.20 |
제본의 종류 (0) | 2020.05.12 |
산돌 & 디자인 210 폰트 견본집 (0) | 2020.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