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대상이 되는 서비스나 제품의 리서치를 진행합니다.
- 이는 사용자 경험을 추측으로 작성하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 가상의 사용자인 페르소나를 정하고, 고객 여정 지도를 그리는 목표를 세웁니다.
- STAGE 칸에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단계를 시간순으로 작성합니다.
- STAGE마다 일어나는 모든 상호작용을 TOUCHPOINT 칸에 작성하고 사용자의 행동과 생각을 분석합니다.
- TOUCHPOINT는 유저가 겪게 되는 모든 상호작용을 적습니다.
- THINKING에는 사용자가 상호작용을 통해 바라는 기대나 니즈를 적습니다.
- 필요하다면 PAINPOINT나 EMOTION 등의 항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고객 여정 지도를 그리는 목표를 생각하면서 각 STAGE의 기회 영역을 분석합니다.
Customer_Journey_Map_Spoqa_Design_Toolkit.pdf
0.35MB
'읽기 >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스타 초보에게 전하는 21만 팔로워 유저의글 (0) | 2020.09.25 |
---|---|
스타트업이 망하는 이유 20가지 (0) | 2020.09.21 |
매출에 대하여 (0) | 2020.09.07 |
상자 밖에 있는 사람들 (0) | 2020.09.01 |
강추하는 브랜딩 마케팅 온라인 강의 (0) | 2020.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