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떡 제본 무선 제본 (무선철) 중철제본(중철) 반양장 양장 차이

by dig it 2024. 11. 18.

제본(제책)의 종류

 

떡 제본

마스터 인쇄를 하거나 POD(디지털 출력) 인쇄를 할 경우에는 전지사이즈에 인쇄하는 것이 아니고 낱장 인쇄하기 때문에(프린터로 출력하는 것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제본 할 때도 이 낱장을 모아서 자르고 측면에 접착제를 발라 표지를 씌우는데 이 제본 형식을 떡 제본이라고 합니다.

이를 무선제본과 혼동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접착제로 붙이는 것은 같지만, 방식에 있어서 엄연히 다른 제본 형태입니다.

낱장을 붙이는 형태라 접합면이 좁아 낱장 종이가 뜯어지는 경우가 많아 장기보존에는 맞지 않습니다.

그러나 결과물만 봤을 땐 전문가가 아니면 무선제본과 구분하기 쉽지 않습니다.

 

 

무선 제본 (무선철)

가장 흔하게 쓰이는 책 제본형태입니다.

전지에 16장씩 인쇄된 내지를 접어서 제본되는 면을 긁거나 칼집을 넣고 그곳에 접착제를 투과하여 붙이는 방식입니다.

실로 묶는 것이 아니라서 '무선'이라고 하며 얇은 표지를 사용한다고 해서 소프트커버 제본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그러나 실로 묶는 양장 제본 방식 중에서도 얇은 표지를 사용하는 반양장 방식이 있으므로 소프트커버라는 명칭은 옳지 않습니다 실로 묶은 반양장이나 양장보다 펼침성은 좋지만, 견고성은 떨어집니다.

 

중철제본(중철)

펼침면(양쪽 페이지를 한 장으로 인쇄하는 것)을 순서대로 모아 가운데를 철심으로 박는 제본 방식입니다. 주로 카탈로그나 쪽수가 적은 잡지 등에 사용됩니다.

중철에서 표지는 내지와 같은 종이를 쓰거나 그보다 약간 두꺼운 종이를 사용하며 내지를 중철한 다음에 표지를 따로 씌우 는 경우도 있습니다.

중철제본은 꽂았을 때 책등에 내용을 넣을 수 없고 견고성이 떨어져 일반적 단행본에는 잘 쓰이지 않는 형태입니다.

 

 

반양장

형태는 무선제본과 같지만, 16장씩 묶인 내지를 실로 꿰매어 묶는다는 점이 다릅니다.

실로 묶기 때문에 무선제본보다 견고하지만, 펼침성이 안좋고 가격도 높아지기 때문에 장기보관할 책이나 고급스러운 책에 주로 사용됩니다.

무선제본과 같이 얇은 커버를 쓰지만,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조금은 더 두꺼운 용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양장

 

양장

양장은 말 그대로 서양에서 들어온 하드커버 형식의 제본 방식을 통틀어 일컫던 말인데 지금은 무선과 반대되는 유선의 의미(실로 묶는)로 정착된 것으로 보입니다.

실로 묶고 합지로 만든 단단한 책등에 붙이기 때문에 제본 중 가장 튼튼한 형식입니다.

16장씩 접은 내지를 실로 꿰어, 접착제로 책등에 부착될 부분을 붙여 묶음으로 만든 뒤, 두꺼운 합지에 가죽 이나 천, 종이 등의 싸바리로 싸 놓은 표지를 붙이는 방식입니다. 이때 좀더 단단히 붙이고자 면지를 이용합 니다. 그래서 양장제본에서는 면지가 꼭 필요하지요.

 

 

 

 

1. 떡제본
낱장제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낱장을 접지 않고 하나씩 측면에 접착제를 발라 표지를 씌우는 제본 형식입니다.
책의 펼침성은 좋으나 접합면이 좁아 낱장 종이가 뜯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논문 등을 한 쪽씩 마스터 인쇄하거나 복사하여 제본할 때 많이 쓰입니다.
이 때에는 4배수의 쪽수 제한은 필요 없겠죠! 2배수도(낱장) 제본이 가능하니까요!

2. 중철, 중철제본
접지를 하여 4쪽(펄침면-최소 4배수가 안되면 제본할 수가 없겠죠)을 순서대로 이어서 가운데 철심을 박아 제본하는 형식입니다. 주로 카탈로그, 팜플렛, 등 쪽수가 두껍지 않는 제본에 많이 쓰입니다.
최근에는 잡지같이 두꺼운 제본에서도 중철제본을 종종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두꺼운 책을 중철로 제본하면 안쪽 면이 바깥쪽 면보다 튀어나오기 때문에 보기에 흉하고 다시 재단해야하는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중철에서의 표지는 내지와 동일하게 작업하기도 하지만 내지보다 약간 두꺼운 용지에 코팅, 박찍기 등 후가공을 거쳐 표지와 함께 철심을 박기도 합니다. 이때 내지는 같은 용지 외에
별도의 성질이 다른 트레팔지 등도 얼마든지 같이 제본할 수 있습니다.

3. 무선철, 무선제본
가장 일반적인 단행본 제본형식입니다.
대수별로 접지를 하여 제본되는 면을 톱으로 긁거나(일반무선제본), 칼집을 넣어(아지노) 그 곳에 접착제를 투과하여 접합하는 형식입니다.(그림참고) 낱장제본과도 다르며 양장이나 반양장과 같이 실로 묶지도 않습니다. 오로지 접히는 면에 칼집 안으로 접합제를 넣어 고정시키는 방법입니다.
반양장보다 펼침성은 좋은 편이고 견고성은 떨어집니다. 무선철에서의 표지의 평량은 책의 판형과 두께에 따라 보통 150g~ 300g 까지 가능하며, 앞뒤 양날개가 있어 필요한 정보를 추가하여 싣기도 합니다.

4. 반양장
무선제본 형식에다 칼집이 들어간 곳에 실로 한 번 더 꿰매어(가가리, 사철) 더욱 튼튼하게 만드는 제본입니다. 일반 무선보다 두껍거나 보관기간이 긴 고급스러운 책에 주로 쓰입니다.
양장과 거의 같고 표지를 하드커버로 쓰지 않고 소프트커버로 쓴다는 것이 다르며 무선철보다 펼침성은 떨어지지만(실로 꿰매었기 때문) 책등이 견고하여 잘 뜯어지지 않습니다. 반양장에서의 표지형식은 무선철과 같으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대부분 조금 더 두꺼운(250g~400g) 용지를 사용하는 편입니다.

5. 양장
양장 제본형식은 일반 제본 중에 책등이 가장 튼튼한 제본형식입니다.
접지를 한 종이를 대수별로 실을 꿰매어 책등을 직각으로 혹은 둥글려 모양을 내고 두꺼운 합지나 가죽류 등으로 하드커버를 사용하여 표지를 만들어 붙이는 방식입니다.
이때 딱딱한 표지는 각을 잘 살려서 면지와 책등에 접착제를 붙여 접합합니다.
어린이 책이나, 연감 등 단행본 보다 전집류에 많이 쓰이고 있으며 얇은 책보다 두꺼운 책에 주로 사용하고 장기간 보관해야하는 책, 고급스럽고 특수한 책에 양장제본을 합니다.
양장제본만 아시면 다른 제본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표지는 주로 인쇄된 종이나 가죽류나 크로스지 등을 사용한 싸발이 하드커버를 사용하는데
바깥에서 안쪽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되어있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1) 하드커버(크로스지나 가죽류) + 내지
2) 하드커버(인쇄된 종이) + 내지
3) 인쇄된 종이 + 하드커버(①크로스지나 가죽류, ②인쇄된 종이 )+ 내지
4) 띠지+ 인쇄된 종이 + 하드커버(①크로스지나 가죽류, ②인쇄된 종이) + 내지


6. 링제본
각각 낱장을 순서대로 추리거나(접지가 안되는 두꺼운 용지) 접지를 하여 한 편에 작은 구멍을 여러 개 내고 그 안에 스프링을 끼워 넣는 제본입니다. 펼침성이 좋고 뒤로 넘기기 자유롭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로 노트나 카렌다, 요리책 등에 주로 사용합니다. 링의 종류와 색이 여러 가지 시중에 나와 있으며 가격도 각각 다릅니다.
이때 스프링이 먹은 곳은 약 1cm 내외가 되기 때문에 이 정도의 여분은 디자인할 때 감안해야한다는 것도 놓치시면 안 됩니다.
최근에는 등이 있는 링제본이 나와 새롭게 선보이고 있습니다.

7. 바인더 제본
책에서는 많이 쓰이는 제본형식은 아닙니다.
용지에 3~4개의 구멍이 나있고 그것을 커다란 링에 끼우는 제본으로 자유롭게 자주 철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문서, 보고서, 기록지, 포트폴리오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임의로 내지를 바꿔 끼워 넣을 수 있으며 크기가 일반 책 크기보다 크고 끼우는 플라스틱 종류도 다양합니다.

8. 띠제본(노트제본)
노트류, 명세서, 스케치북, 메모지에 많이 사용됩니다.
접착제로 제본한 뒤 위에 띠지같은 표지를 씌워 마무리합니다.

9. 호부장
예전에 주로 사용하던 제본형식입니다만 최근에는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중철처럼 철심을 박는데 그 철심이 책등에 접혀지는데 박히는 것이 아니라 옆면에 박혀 넘길 때 불편함을 주고 표지가 떨어져나갈 우려가 있어 활용이 거의 없어진 제본형식입니다.

10. 전통제본
전통제본도 종류가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양쪽 인쇄를 하여 접히는 곳에 접착제를 붙여 내지를 넘기는데 비해 전통제본은 그와는 반대로 한 쪽에만 인쇄를 하여 인쇄가 안 된 쪽(뒷쪽)으로 병풍 접기를 하여 실로 꿰맨다는 것이 다릅니다. 그래서 뒷면이 잘 비춰지지 않고 두께감이 부드러우며 책넘김이 일반 책과 전혀 다른 느낌을 줍니다.


1. 접착제의 힘
제본에서의 접착제는 앙꼬없는 찐빵과 같다고 할까요? 제책 관계자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책등이 예전처럼 잘 떨어지지 않는 것은 다 본드 때문이라고 얘기들 합니다. 그 만큼 제본에서 접착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지 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최근에 질 좋은 본드가 많이 개발되고 그와 더불어 제본의 품질이 점차 나아지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제책사에서 사용하는 이 접착제들은 사용하는 위치와 제본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건조되는 속도와 강도, 제본분량, 용지, 계절, 습도 등에 따라서고 다르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2. 전문 제책사
살펴보신 것과 같이 제본의 종류가 무척 다양합니다. 때로는 새로운 제본형식도 얼마든지 개발 가능하다고 하겠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살펴본 제본의 종류는 현장에서는 모두 나름대로 기계설비나 노하우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제책사별로 나뉘어 영업하고 있습니다. 완전자동시스템도 있습니다만 대부분은 아직 사람의 손이 필요한 반자동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어 기술을 가진 인력이 필요로 하는 곳이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제책의 운영도 제가 알기로는 아직까지 이 모든 제본의 형식을 동시에 한 곳에서 가공하는 제책사는 없는 것으로 압니다.
예를 든다면 양장제본에서 하드커버 싸발이도 같은 제책사에서 하지 않고 외부에서 싸발이만 전문으로 하는 곳에서 따로 작업하여 들여오니까요. 제책사를 알아보실 때에는 어떤 종류의 제본을 주로 하는 곳인지 우선 알아보시는 것이 필요하겠죠!

1.떡제본, 띠제본 전문
2.중철 전문
3.무선철, 반양장, 양장 전문(다이어리)
4.링제본 전문
5.기타
*싸발이 전문

3. 제본용지
제본하기에 적당한 용지의 평량은 70~180g 사이가 좋습니다.
용지가 너무 두꺼워도 너무 얇아도 제본하기에 까다롭습니다. 인쇄에서부터 코팅, 제본에 있어 용지 두께를 적절히 조정해야 사고가 나지 않습니다. 지나치게 얇거나, 지나치게 두꺼운 용지의 작업은 각각의 과정에서 모두 기피하는 두께이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만 어쩔 수 없이 작업을 해야만 한다면 일일이 과정을 따라가며 세심한 부탁도 잊지 않아야 합니다.
제본의 최소범위는 2백부도 가능하지만 경비는 500부일 때를 최소단위로 정산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4. 제본사고
제본에서는 인쇄에서처럼 파지가 많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제본사고는 인쇄사고일 때가 많습니다. 확인만 제책사에서 한다고 보시면 거의 맞을 것입니다. 판을 앉힐 때에 쪽수 방향이나 순서를 다르게 앉혀 인쇄한 후 최종 단계인 제본할 때에 확인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후가공이나 면지 등 제본해야 할 여러 재료가 총 집합이 되어 작업하게 되므로 본문 대수별 용지의 많고 적음, 표지 두께의 정확성, 면지와 기타 부재료와의 용량 정확성들이 확인되는 곳이기도 합니다.

① 인쇄통수가 정확하게 맞지 않아 납품량을 맞추기 어렵다거나 (인쇄실수)
쉽게 설명하면 1개월짜리 달력인데 12개월 중 어느 한 달이 모자라 1부의 카렌다를 완성하여 납품할 수없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아니면 파지를 통수로 잘못 계산하여 납품하였을 때에도 이런 상황이 발생한다.
② 펼침면의 색이나 띠가 고르게 연결되어 보이지 않는다거나 (인쇄실수)
③ 쪽수의 순서가 잘못 게재되어 있다거나 (터잡기실수)
④ 반복으로 앉혔을 때 재단여분을 미쳐 주지 않았다거나 (터잡기실수)
⑤ 쪽수나 제목 등이 제 위치에 정확히 있지 않다거나 (디자인작업실수)
⑥ 책의 판형과 표지의 크기가 맞지 않는다거나 (디자인작업실수)
⑦ 싸발이나 케이스의 인쇄된 표지의 접합여분이 부족하다거나 (디자인작업실수)
⑧ 책의 두께를 잘못 계산하여 책등이 부족하다거나 넘치는 경우 (디자인작업실수)

이외에도 더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의 크게 나타날 수 있는 것 만 우선적으로 말씀드립니다.

다음은 제본에서 발생되는 사고입니다.
① 정합불량
정합은 접지된 인쇄물을 대수별로 정확하게 순서를 맞추어야 하는데 순서가 맞지 않을 때에 나타납니다. 인쇄물에 쪽수가 정확하게 기입되어 있기도 하지만 기입되어 있기 않았을 때, 편집배열표에 오류가 있었다거나 부속물(화보나 목차 등)과 결합의 순서가 바르지 않았을 때 나타납니다.
보통의 정합기계로 한번에 책을 완성하기보다는 쪽수가 많을 때는 여러 번에 걸쳐 정합합니다. 이때에 조그마한 실수라도 용납되어서는 안 됩니다.
③ 대수불량
보통 터잡기에서 실수가 발생하여 접기에서 쪽수가 맞지 않았을 때 발생합니다.
전체 검수시 대수불량인지 정합불량인지 확인될 수 있습니다.
16배수로 잘못되었을 때에는 정합불량, 16배수가 아닐 때에는 대수불량입니다.
④ 마름모 재단
일반적이지 않지만 가끔 나타납니다. 내지의 3면을 재단할 때에 각을 정확하게 맞추지 않아
마름모가 되어 책이 납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서점에 가서보면 간혹 나타납니다.
⑤ 하드커버 건조불량
싸발이 하드커버는 재생합지를 싸발이하는 것이기 때문에 재생합지의 수분이 완전히 건조되지 않았을 때에 가공하면 종이가 바가지가 지는 것처럼 휨현상이 발생합니다.
제본할 때에는 보이지 않던 휨현상이 서점에 책을 진열해 놓으면 나타나는 것도 있습니다.
그것은 합지자체의 불량이므로 잘 선별해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겨울같은 계절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⑥ 크기불량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본문과 표지, 싸발이 하드커버의 크기가 맞지 않다거나 같은 판형의 책 크기가 조금씩 다른 것은 크기 불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책에서 다룰 수 있는 크기 약 1~2mm 정도는 움직일 수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⑦ 책등 불량
책등불량은 대부분 디자인작업에서의 본문 용지를 잘못 선택하여 크기를 쟀다거나 본문이외에 부속품, 광고면을 계산에 넣지 않았다거나 하였을 때 나타납니다. 그리고 제본의 다양한 형식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에도 발생합니다.

5. 표지수정
표지가 낡거나, 오류가 생겨 새로 교체하고 싶을 경우(재표지)에 일반무선철이나 반양장은 표지만 새로 갖다 주면 가능하지만 양장제본은 새로운 표지와 동시에 하드커버에 붙어있는 면지도 같이 교체해야 합니다. 그렇게 기존의 본문에 새로 교체한 표지를 붙인 후 전체적으로 위, 아래 약 1.5mm씩, 오른 쪽 약 1mm를 전체적으로 재단을 다시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재표지를 작업한 책은 일반책보다 크기가 조금 작게 납품될 수밖에 없습니다.

 

 

댓글

최신글 전체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